나의 이야기

미카엘 신부님 휴가 귀국 기념으로 가족들이랑 손골 성지 다녀왔어요.

58자운영 2017. 4. 11. 13:19

 

중앙 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선교사로 계시는 우리 미카엘 신부님.

휴가차 한국에 오셨는데

서울 동생네에서 형제들 모여서 하루 보내고

근처에 있는 손골 성지에 들렀습니다.

 

먼저 손골 성지 윤민구 도미니꼬 신부님과 함께~

  

손골[孫谷里]

신자들의 부락 성교촌이라 불리어 오는데

특히 이 요한, 그의 아들 베드로, 손자 프란치스코 삼대가 손골에서 살던 중

병인박해 때 피신하여 신미년 1871316일에 순교한 곳이기도 하다.

수원시 북쪽에 솟아 있는 광교산 동쪽 깊은 골짜기 안에 위치한

손골 성지는 옛 부터 향기로운 풀이 많고 난초가 무성했던 곳이다.

향기로운 골짜기 라는 뜻을 지닌 손곡(蓀谷)의 형성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어 1839년 기해박해를 피해 숨어든 신자들이 이룩한 교우촌으로

병인박해(1866) 때에는 10여 호로 이루어져 있었다고 전해지고 있다.

  

손골 성지는

성 도리 헨리코 신부가 체포된 선교사들의 전교 유적지랍니다.

 

 

손골은 프랑스 파리 외방전교회 소속 선교사들의 전교 유적지로서

특별히 성 도리(Dorie, , 1839~1866, 헨리코) 신부가 1865년 조선에 입국하여 선교하다가 병인박해 때 포졸들에게 체포된 곳이다.

또 이곳은 1857년 입국한 페롱(F´eron, stanislas, , 1827~1903) 신부

 18614월 말부터 대략 1년 남짓한 기간 조안노(Joanno, , 1832~1863, 베드로) 신부, 칼레(Calais, , 1833~1884, 알퐁소) 신부 등이,

1863년에는 오메트르(Aumaitre, , 1837~1866, 베드로) 신부 등이 입국하여

주로 조선말과 풍습을 배우던 곳이고,

조선 제4대 교구장인 베르뇌(Berneux, 張敬一, 1814~1866, 시몬) 주교도 방문(1861년과 1863)했던 곳으로

신앙의 전통이 계속 이어져 내려오는 유서 깊은 성지이다.

 

 파리 외방전교회 고문서에 의하면 페롱 신부는 손골에서 자신의 어머니에게

 자신이 한 지역의 전담 신부가 됐음을 알렸고(18571017일자 서한),

 조안노 신부는 손골에서 조선말을 배우고 있으며 칼레 신부도 와서 합류했다고 하였다(18611022일자 서한).

 이를 통해 손골이 선교사들의 조선말 학습 장소이자 사목 지역의 중심지였음을 알 수 있다.

 오메트르 신부는 1863619일부터 1864910일까지 손골에서 15통의 편지를 썼다.

 

 성 도리 헨리코 신부는 183993일 프랑스 성 틸레르 드 탈몽의 한 농가에서 팔 남매 중 여섯째로 태어났다.

1864521일 사제품을 받았고 그 즉시 조선의 선교사로 임명되어

이듬해 5월 브르트니에르(Bretenieres, , 1838~1866, 유스토),

볼리외(Beaulieu, 徐沒禮, 1840~1866, 루도비코),

위앵(Huin, , 1836~1866, 마르티노) 신부 등과 함께 조선에 입국하였다.

입국 후 경기도 용인의 손골에 배속되어 선교하던 중 1866227일 체포되어

37일 새남터에서 베르뇌 주교, 브르트니에르 신부, 볼리외 신부 등과 함께 군문 효수형을 받고 순교하였다.

 

 파리외방전교회(The Society of Foreign Missions of Paris)

1658729일 창설되고,

18319월 한국 선교에 처음 진출하여 한국 천주교회의 초창기 발전은 물론 교회를 통하여 한국 민족과 고락을 같이 한 선교 단체이다.

파리 외방전교회는 파견된 포교 지역에서 교회를 조직하고,

현지인(現地人) 성직자를 양성하여 그들에 의해 교회가 운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창립 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아시아에 4,000여 명의 선교사들이 파견되었는데

그중 170여 명이 한국에 파견되었다.

오랜 역사 동안 아시아의 많은 나라에서 선교사 170명이 살해되었는데

그 중 24명의 선교사가 한국에서 살해되었다.

  

 

  성 김 헨리꼬 도리(Dorie, Pierre Henri) 신부(1839-1866)

1839923일 프랑스 뤼송 교구 탈몽에 속하는 생 틸레르 드 탈몽의 작은 바닷가 어촌에서 팔남 매 중 여섯 번째로 태어났다.

부모님은 가난하게 생활하셨지만 신앙이 굳건했고

성 김(도리)헨리꼬 신부 또한 그러한 가정에서 평범한 생활을 하던 중 뤼송 대신학교에 들어가 소품을 받고

파리외방선교회 신학교에 들어가 1864521일 사제품을 받고 신부가 되었다.

조선 선교사로 임명된 그는

역시 조선 선교사로 임명받은 백(브레트니에르)위스또 신부,

 (볼리외) 루도비꼬 신부,

(위앵 마르틴) 루까 신부와 같이

그해 715일 마르세이유를 출발하여 9월 중순 홍콩에 도착하였으며

 이어 상해를 거쳐 11월 요동 지방에 대기하며 조선 입국의 기회를 기다리게 되었다.

다음해(1865) 417일 동료 선교사 3명의 신부와 같이 차쿠를 떠나 백령도를 거쳐 527일 내포에 상륙할 수 있었다.

위앵 신부만 내포에 남고 나머지 3명의 신부는 서울로 올라와 우선 말을 배우기 위해 서울에서 가까운 교우촌으로 보내졌는데

 성 김(도리)헨리꼬 신부는 용인의 손골리로 가게 되었다.

얼마 안가서 병인박해가 일어나자 그 해 즉 1866228일 배교자 이선희의 밀고로 체포되어 서울로 압송되었다.

포도청에서 조선에 온 경위와 체류에 대해 설명, 심문을 받은 후

 37일 장(베르뇌)시므온 주교와 백(브레트니에르) 위스또 신부, (볼리외) 루도비꼬 신부와 같이 군문효수형을 받고 새남터에서 순교하였다.

1968106일 로마 성 베드로 대성당에서 교황 바오로 6세에 의해 시복되었고

 198456일 한국 천주교 200주년 기념을 위해 방한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시성되어

한국의 103위 순교성인 대열에 들었으며

유해는 절두산 지하 성당에 모셔져 있으나 그중 일부를 분배받아 손골성지에 모셔 안치하고 있다.

펌글.

 

 

주차장에 도착하니 도리 신부 순교비 가 먼저 보이네요.

 

도리 신부 부모님이 사용하던 맷돌로 만든 십자가 두 개중

하나는  프랑스 쌩 틸래르 딸몽 고향 생가에 모셔지고

다른 하나가 여기 모셔져 있다.

 

예수님이 '어서 오너라,  참으로 잘 왔다' 그러시네요.

 

주차장을 지나면

 

손골성지 안내문

 

성당 외부 먼저 담고~

 

예수님.

 

성 도리 헨리코 신부

성 오메트르 신부

 

성모님

 

가족들

 

울 아버지

 

선교 신부님들

 

무명 순교자들 앞에 서니 맘이 짠합니다.

 

이름이나 행적을 자세히 알지 못하는 순교자들.

 

읽고 있는 내내 숙연하네요.

 

우리나라 103위 성인들

 

고향이 북한인 성인들

 

성당 안으로 들어 가려는데 주임 신부님인듯~

우리 미카엘 신부랑 인사를 드리고.

 

아기 천사님이 성수를 들고 있네요.

 

우리도 잠시 기도에 참석하고

 

윤민구 도미니꼬 신부님이랑 기념으로 남깁니다.

기념으로 책도 주시고

신부님 늘 건강하시길 바랍니다.

 

 

성 도리 헨리코 신부~

 

무명순교자의 묘.

 

 

 

가족들~

 

성 오메트르 신부~

 

가족들~

 

 

맷돌로 만든 십자가 한번 더 담고

손골성지 다녀갑니다.

 

점심 먹으러 간 식당 풍경인데

번호표 기다리며 간단하게 한 잔 하라고 준비해 놓았네요.

 

가마솥에 한약차도 있고

 

군고구마 까지~

 

사람들이 워낙에 많다보니 고구마 맛 보려면?

 

반개는 맛 보았네요.ㅎ

우리는 대식구라 야외에 있는 식탁에서 한정식으로 맛있게 먹었습니다.

울 아버지의 탁월한 선택으로ㅎ

햇살 따뜻하니 맞이하며....

 

근처에 있는 찻집에 들러서 차 한잔 하며

가족들의 정을 듬뿍 안고

행복한 1박2일의 추억들을 담았습니다.

 

미숙이랑 제부

늘 고맙고 미안한 맘 입니다.

신안이, 신부님도 먼길 운전하느라 고생 많았고

정희, 여진이도 함께 해서 행복했고

아버지랑 우리 가족들이 있음으로

늘 감사합니다.

 

 

2017.    3.     24 ~ 25 .